728x90
연준(Fed),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75bp↑) 연말까지 기준금리 4.5% 예상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이번 9월에도 기준금리를 75bp 올렸습니다. 이렇게 3회 연속으로 자이언트 스텝으로 인해서 지난 새벽 시장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또한, 이렇게 3회 연속으로 자이언트스텝을 밟음으로써, 기준 금리가 3.25%로 크게 올랐습니다. 2008년 1월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지난 주 CPI(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이후 100bp를 인상할 수 도 있다는 예측도 있었는데, 연준이 그렇게까지는 하지 못했습니다. 역사상 한번에 100bp를 올리는 일은 없었던데가, 금융 시장에 미칠 과도한 충격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입니다.
연준의 성명에서 "팬데믹과 관련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 상승, 더 광범위한 가격 압박 등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이 유지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이 추가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잭슨홀 미팅에서도 말했듯이 연준의 물가를 잡기 위한 의지가 굉장히 강한 것으로 느껴집니다.
또한, 연내에 두 차례 남은 회의에서 1.25%를 추가 인상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그리하여 연말까지 4.5%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예고때문에 시장이 더 크게 흔들렸습니다.
이번 인상으로 현재 2.5%인 한국 기준금리와 미국 기준금리는 다시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또한,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외국 자금 유출과 환율 추가 상승 위험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9월 FOMC 회의 요약
- 75bp 금리 인상을 했으며 앞으로도 어느 정도 금리 인상을 할 수 있음
- 노동 시장은 크게 성장했으며, 실업률은 낮음
- 미국 경제와 부동산 시장의 성장은 팬데믹과 여러 문제로 느려짐
- 물가 안정이 없다면 강력한 노동 시장이 없을 것
- 대차대조표는 계획대로 줄일 것
- 소비자물가지수(YoY) 8.3% / 소비자물가지수(YoY) 6.3% ▶ 서비스와 물품 가격이 크게 상승, 러·우 전쟁 반영
- 인플레이션 중앙값 올해 5.4% ▶ 2023년 2.8% / 2024년 2.3% / 2025년 2%대로 예상, 25년 연준의 장기 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
- 대차대조표 관련 MBS 판매는 현재 고려 중이지 않음
★ 중요포인트 : 노동 시장보다는 물가 안정에 우선순위,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 억제
'투자기록 > 기타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 지표가 예상치보다 상회하여 Fed의 금리 인상 추가 예고 (2) | 2022.10.08 |
---|---|
영국 파운드 37년만에 최저치 기록, 미국 달러 대비 5% 하락 (0) | 2022.09.28 |
9월 22일 연준 FOMC 금리 인상 내용에 주목 (4) | 2022.09.19 |
국회 기재위, 일시적 2주택·고령자 및 장기보유자 등 종부세 완화법안 통과 (6) | 2022.09.01 |
중국경제 전망 및 위험요인 점검 (0) | 2022.09.01 |
댓글